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맑음
23 ℃ 미세먼지 42㎍/m³

안산소개

동별유래

동별유래
  • 본 자료는 안산시 각 동(행정동) 유래에 관하여 간략하게 소개한 것이며 각 동에 있는 자연마을 명칭유래 및 법정동명 유래는 안산시사(安山市史) 중권(中卷) "제3장 지명의 유래(P 185∼)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 현재 "안산시사"는 시청, 25개 행정복지센터 및 시립도서관, 초중고등학교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고잔동(古棧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잉화면 고잔리라 했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수암면 고잔리로 개칭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安山市 古棧洞)으로 되었다. 고잔은 고지(串)안쪽에 있는 마을이란 뜻이며 고잔(古棧) 이란 한자는 뜻과는 상관없이 붙여진 것이다. 고잔동은 행정,교육,금융,경찰등 안산시의 중심지이다.

부곡동(釜谷洞)

부곡동은 가마솥을 엎어놓은 형상이라 하여 부곡이라 하였으며 조선시대 에는 안산군 군내면 부곡리와 신리 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수암면 부곡리로 되었고, 이어 1986년 1우러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安山市 釜谷洞)으로 되었다.부곡동은 진주 유씨 누대의 세거지인데 시랑골, 신촌등 남부지역은 폐동되어 택지 및 양궁경기장, 제일스포츠등이 들어섰고, 개멸,벌터등 북부지역은 자연취락이 현존하나 안산-신갈간 도로가 마을 중앙을 관통하고 있다

성포동(聲浦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군내면 성포리와 점성리 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수암면 성포리로 개칭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따라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安山市 聲浦洞)으로 되었다.이곳은 어업의 전진기지로, 만선 귀향하는 어부들의 소리가 컸다하여 성포동이라 칭했다. 성포동의 자연취락은 신도시개발 때 모두 폐동되어 옛 성포리는 고층아파트(예술인 아파트, 주공고층아파트) 지역으로 변모되었고 옛 점성리는 택지로 조성되었다. 또 조선시대의 성포리는 어부들의 삶의 터전으로 바닷 내음이 물신 풍기는 곳이라면, 첨성리는 실학자 성호 이익선생이 80년간 은둔생활로 학문을 연마하던 조용한 마을이었다. 점성리는 광주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어 역사학자들 간에도 광주 첨성리와 안산 첨성리를 서로 혼돈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부언하면 학문을 연구하던 곳은 안산 첨성리 이고 죽어 문힌 곳은 광주 첨성리인데 신도시개발로 이들 지역이 성호 묘역외에는 모두 택지로 조성되어 현재는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소속되어 있다.

와동(瓦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잉화면 와상리와 와하리 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수암면 와리로 개칭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단원구 와동(安山市 瓦洞)으로 되었다.와동은 기와를 굽던 와골에서 유래되었고, 와골은 그후 조선중엽 수해로 광덕산 서쪽 낙맥이 무너져내릴 때 매몰된 후 농경지로 되었다가 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와동 복지회관이 들어섰다. 와동은 신도시개발로 자연취락이 모두 폐동되어 대부분의 지역이 택지로 조성되었다.

월피동(月陂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잉화면 월피리라 칭하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수암면 월피리로 개칭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安山市 月陂洞)으로 되었다.본래의 이름은 다리피(月入陂)로 달뜨는 언덕받이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월피동은 예로부터 농토가 비옥할 뿐 아니라 월피천과 안산천등 하천이 있어 연년세세 풍년이 들어 부자가 많이 살던 곳이다. 신도시 개발로 모든 마을이 폐동되어 서쪽지역은 택지로, 동쪽지역은 아파트단지로 변모되었다.

선부동(仙府洞)

옛날에 선녀가 내려와 목욕하던 우물이 있었기 때문에 선부리(그 우물을 '석수골 우물'이라 함) 라 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대월면 선부리와 달산리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군자면 선부리로 개칭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安山市 仙府洞)으로 되었다.선부동은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관내에서 최초로 장시(산대장)가 섰을 만큼적대던 곳이었다. 특히, 안산의 곽적성씨중 안산 김씨 후손중에 김맹전 (金孟銓)의 묘를 석수골에 쓴 후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안산에 안산 성씨의 뿌리를 내렸다 한다. 또한 이곳은 안산의 인맥중 가장 번성했던 파평 윤씨 소정공파 후손들의 주세거지이기도 하다.

원곡동(元谷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와리면 원상리와 모곡리라 칭했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군자면 원곡리로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따라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安山市 元谷洞)으로 되었다.원곡동은 원상리(양지마을)의 '원(元)'자와 모곡리(골)의 '곡(谷)'자를 취한것이며, 신도시 개발 후 취락이 폐동되자 원주민을 위한 이주단지가 조성되어 원주민이 가장 많이 살고 있다.원곡동 내에 있는 땟골은 예로부터 피난곳이라 하여 전란때만 되면 화를 면한다는 속설 때문에 많은 사람이 몰렸으며, 양지마을은 분묘가 많았던 곳이었으나 현재는 안산시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변모되었다. 또한 백성말은 처음에는 집 한채가 있었으나 장차 백가지 성이 살 곳이라 했는데, 이름 그대로 주택이 밀집되어 있다.

초지동(草芝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와리면 초지리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군자면 초지리로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따라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安山市 草芝洞)으로 되었다. 초지동은 삼국시대 이후부터 조선 왕조에 걸쳐 남양만을 제압하는 서해안의 요충지로 초지양영이 있었는데 효종7년(1656년)에 이를 강화도로 옮겨 이곳을 1초지, 강화도의 것을 2초지라 하였다. 이곳은 일찍이 어업이 번성했던 곳이나 신촌, 옛집터, 작은백중, 큰백중, 작은주정등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마을이 폐동되어 공장이 들어섰다.

일동(一洞)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성곶면 일리라 했다가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49호에 따라 안산군 성곶면 일리로 되었으며 1914년 3월 1일 부령 제 111호에 의거 수원군 반월면 일리로 개칭되었고, 그후 1949년 8월 15일 대통령령 제 161호에 따라 화성군 반월면 일리가 되었다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 3798호에 의거 안산시 상록구 일동(安山市 一洞)으로 되었다. 일동은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성곶면으로 안산군 군내면과 경계를 이루었던 곳이다. 일동은 웃말, 응단말, 기와집말등을 통칭해 '구렁골'이라 부르고 있는데, 이는 이곳이 명당지지로 좌청룡이 완연한 곳이기 때문이다. 구렁골은 본래 단성 이씨의 세거지이나 조선 말엽에 김수근, 김병학,김병국,김정규,김용진등 안동김씨 세도에 밀려 안동 김씨의 세장지로 되었다가 신도시 개발(1979년)때 이들의 묘는 화장되었고, 신도비와 묘역에서 출토된 18명의 남.여 복식은 온양 민속박물관에 의해 수습되었다. 이들 유물을 가지고 동 박물관에서는 개관 11주년 기념으로 1989년 10월 25일부터 11월 26일까지 '안동김씨분묘출토복식전'을 열었다. 특히 근세 한국화 화가로 유명했던 김용진(金容鎭)의 구룡산인(九龍山人)이란 아호는 이곳 지명에서 취한 것이라고 한다.

사동(四洞)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성곶면 삼리와 사리였다가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98호에 따라 안산군 성곶면 삼리와 사리로 되었으며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수원군 반월면 사리로 개칭되었고 그후 1949년 8월 15일 대통령령 제 161호에 따라 화성군 반월면 사리가 되었다.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사동(安山市 四洞)이 되었다. 사동은 신도시개발 전에는 화성군 양감면 면장보다 사리(현 사동) 이장을 한다고 할 만큼 화성군 관내에서는 이(里)면적이 제일 컸다고 한다. 사동은 구라와 승지골 외에는 대부분의 지역이 주택단지, 아파트단지, 학교(대학교) 부지로 조성되었다.

본오동(本五洞)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성곶면 오리가 본오리와 분오리로 나뉘었다가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49호에 따라 안산군 성곶면 본오리와 분오리로 되었으며,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의거 수원군 반월면 본오리로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따라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安山市 本五洞)이 되었다. 본오동은 조선시대에 성곶면의 행정구역을 조정할 때 1리 ∼ 4리는 쉽게 마을 명칭이 결정되었으나 배옷 주민들과 선암동 주민들은 서로 이해가 엇갈려 배옷은 본오리로, 선암동은 분오리로 나뉘어 불리게 되었다. 그후 1914년 부군을 통합하면서 분오리를 본오리에 흡수해 본오리로 하였고 시제(市制)가 실시되면서 '본오동' 으로 개칭하였다.

반월동(半月洞)

마을 가운데 수리산 줄기의 속칭이 반월산이라 하여 그이름을 따 반월이라 하였으며 예전에 화성군 반월면 관내에서 팔곡동 담너머 마을을 큰반월이라 하였고 담너머보다 호수가 적은 곳이라 하여 작은반월 이라 불렀다.본래는 화성군 매송면 월리와 본오동 경계에 사람들이 살았으나 그곳이 지대가 높고 식수도 좋지 안아 조선말에 담너머 서쪽인 현재의 위치로 이주하였다. 광주이씨와 제씨등 67호가 살았던 작은 반월은 마을 동쪽을 웃말, 서쪽을 아랫마을 중앙을 가운뎃말이라 칭했는데, 신도시개발로 1986년 폐동되어 원주민 대부분이 본오동, 수원, 남양, 인천등지로 이주했으며 1994년 12월 26일 행정구역 개편(대통령령 제14,434호)으로 안산시에 편입되기에 이르렀다.

안산동(安山洞)

수인 산업도로와 수암봉 사이에 위치한 마을이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관아가 있었을 만큼 안산군의 중심지였으나, 1914년 일제가 부·군·면을 통폐합하면서 면 행정의 중심지로 변모되었다. 이곳은 조선시대 안산군의 관아가 있었으므로 '안산'이라 부르고 있는데 겟다리에서 동쪽으로 옛 안산군 관아가 있었던 직선 길을 따라 북쪽 지역을 독수리, 그 남쪽 지역을 수암리라 칭하고 있다. 또 마을회관 주변을 '개울께' 행정복지센터 서쪽을 '샛터말',수암봉 밑을 '웃골'이라 부르고 있다.이 마을은 조선왕조 제2대 정종 2년(1400년)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데 큰공을 세워 좌명공신 4등으로 연성군에 봉해진 김정경(1345∼ 1419년)이 옛 안산군 관아뒤에 살면서부터 취락이 이루어 졌다. 그가 세거할 때 심은 은행나무가 세 세그루라고 하는데 그중 한그루가 남아있다.

대부동(大阜洞)

대부동은 삼한 시대에는 마한에 속하였다가 통일신라 시대에 이르러서는 한주(漢州)에 속하였다. 그리고 고려시대에는 남양도호부(南陽都護府) 소속이었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남양군에 속하였는데 조선 인조때에는 방어사(防禦使)가 주재(駐在)하였다. 그후 1914년 3월 1일 대부도는 남양군에서 부천군으로 편입되었고 1973년 행정구역 개편(법률 제2597호)으로 옹진군에 편입 되었으며, 1994년 12월 26일 다시 행정구역 개편(대통령령 제14,434호)으로 안산시에 편입되기에 이르렀다.남양쪽에서 대부도를 바라보면 섬 같지 않고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하여 대부도라고 불렀다.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콘텐츠 관리부서 문화예술과 문화종교팀
  • 전화번호 ☎ 031-481-2798